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7)
un = opposite (반대, 아닌) un- against (반대, 아닌) unexpected un (반대) + expected (기대되어지는) → 기대되지는 의 반대 adj. 예상치 못한, 기대치 못한, 뜻밖의 less money available for an unexpected situation(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해서는 더 적은 돈이 가능한) 수능09 unknown un (반대) + know (알려진) → 알려진의 반대 adj.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무명의 the Amazon, the unknown and mysterious world (아마존, 미지의 그리고 신비로운 세계) 수능16 unlikely un (반대) + likely (있을법한) adj. 있을 것 같지 않은 deadlocks are unlikely when disag..
re- = 1. back 2. again re- 1. back (뒤에, 뒤로) 2. again (다시) remain re (뒤에) + main (to stay: 남디) → 뒤에 남아있다 v. 1. 여전히 ~인 상태이다, 계속 ~인체로 남아 있다 2. 체류하다, 머무르다 The company remains competitive. (그 회사는 여전히 경쟁력 있다.)수능22 명사형 remains 나머지, 유적 명사형 remainder 남아 있는 것, 나머지 Some make better significant predictions than human experts, and the remainder shows a tie. (일부는 인간 전문가보다 더 나은 에측치를 만들며, 나머지는 동률을 보여준다.) 수능23 remove re (뒤로) + move (움..
per-, pre-, pro-, post- 알파벳 p로 시작하는 단어에서 가장 중요한 접두사 3개를 꼽으라면 per, pre, pro라고 할 수 있다. 이 세가지 접두사를 외우면 정말 p 섹션의 많은 단어들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더불어 쉬운 접두사 post 도 같이 외우면 좋다. per- thoroughly (완전히, 철저히, 처음부터 끝까지, 관통해서) perfect per (thoroughly) + fect (to make: 만들다) → 완전하게 만들다 형용사 [pə́ːrfikt] 완전한, 완벽한 동사 [pəːrfékt] 완전하게하다 We, ABLE Shipping, have developed the perfect system. (우리, ABLE선박은 완벽한 체계를 발전시켜왔다.)수능14 perceive per (thoroughly) ..
de = 1. down 2. away 3. opposite de- 역시 너무 중요한 접속사이고, de-를 해결하면 알파벳 d섹견의 많은 단어들을 익힐 수 있다. 이 접두사는 발음상 변화형은 없지만, 의미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1. down (아래로) 2. away (~로 떨어져) 3. opposite (반대의) depress de (down) + press (누르다) → 아래로 누르다 v. 1. 낙담시키다, 우을하게 만들다 2. 불경기로 만들다 All people once were and be depressed by their incapacities. (모든 사람들은 한 때 그랬거나 그들의 무능력으로 낙담하게 된다.) 수능 변형 명사형 depression 낙담, 우울; 불경기 decline de (down) + cline (to bend 구..
com = together (함께, 같이) com- together (함께, 모두) 중요한 접두사이다. 반드시 알면 좋고, 알파벳 c로 시작하는 단어의 정말 많은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 역시 그 만큼 변화형도 다양하나 비교적 쉽게 변화형임을 알아차릴 수 있다. 변화형 col-, con-, cor-, co- combine com (together) + bin (two) + e (동접) à 두개를 하나로 모으다 v. 하나로 모으다, 결합하다 He combined biographical anecdotes with critical comment. (그는 전기적 일화를 비평과 함께 모았다.)수능12 명사형 combination 결합, 조합 The specific combinations of foods constitute the accumulated wi..
ad = toward (~쪽으로) ad- 1. toward (~쪽으로 가다) 2. to (~에) 너무 너무 중요한 접두사이다. 알파벳 a-로 시작하는 단어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d-의 접두사를 제대로 알면, 알파벳 a로 시작하는 단어들의 많은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 그 만큼 변화형도 많고 헷갈리는 유형도 많다. 변화형 ac-, af-, ag-, al-, ap-, ar-, as-, at-, a- 이다. 어원에서 접두사의 스펠링 변형은 주로 발음에 기인한다. adjust ad (toward) + just (올바른) → 올바른 쪽으로 가다 v. 1. 맞추다, 조절하다 2. adjust to ~에 순응하다, 적응하다 They adaptively adjust their eating behavior in response to d..
20번 문제 유형 분석 최근 수능 20번 문제는 필자의 주장을 찾는 문제가 주로 나온다. 그러므로 필자의 주장이 글의 어느 부분에서 나오는지를 우선 알아야 한다. 필자의 주장이 등장하는 위치 반드시 글의 마지막 두세문장에서 필자의 주장이 나온다. 영어의 글은 항상 두괄식이다. 글의 도입부에서 글의 주제와 관련된 일반적 문장, General Statement, 으로 시작하기도 하지만, 항상 글의 앞부분, 특히 여러 문단으로 구성된 글에서는 반드시 서론의 끝부분에서 반드시 글의 주제와 요지, 즉 필자의 주장, 흔히 Thesis Statement기 나와야만 한다. 하지만, 수능은 시험이므로 주어진 글이 반드시 이 두괄식일 수만은 없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영어의 글에서는 반드시 글의 마지막 부분에서 필자의 주장이 다시 한번 더..
수능 영어 기출 문제를 보면서... 수능 영어 기출 문제를 보면서 항상 느끼는 거지만, 이러니 초중고 영어를 그렇게 공부하고도 원서하나 못읽지라는 생각이 든다. 난 솔직히, 수능 영어가 어디 영어인지 잘 모르겠다. 이건 그냥 콩글리시가 뒤죽박죽 된 영어라고 해야할 것 같다. 정말 뒤죽박죽이다. 원서를 가져와서 "나 한국사람이오"하는 이들이 이리저리 짜집고 붙여넣다보니 어니나랄 영어진지 모를 듯한 새로운 World English가 탄생한 것이다. 이런걸 전문용어로 World English 라고 한다. 원서의 지문에서 매우 부자연스럽게 일부 문장을 마꾼 것 같다. 차라리 학술지나 이런데서 가지고 온 내용은 좀 낫다. 그런데, 편지 형식이라든지, 아니면 장면 묘사 같은 걸 보면, 부자연스럽게 문법적 요소를 집어넣어서 어렵게 만든 경우를 종종 본..